맨위로가기

순치 탄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치 탄음은 아랫입술을 윗니에 튕겨 내는 소리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ⱱ로 표기하며, 2005년에 추가되었다. 조음 방법은 탄음이며, 조음 위치는 치음, 즉 윗니 뒤에서 발음된다. 주로 중앙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되며, 드물게 아프리카 외 지역에서도 나타난다. 일부 언어에서는 양순 탄음과 자유 변이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음 - 치경 탄음
    유성 치경 탄음은 혀끝을 치조에 튕겨 발음하는 자음으로,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탄음 - 무성 치경 탄음
    혀끝을 윗니 뒤쪽 잇몸에 튕겨 내는 소리인 무성 치경 탄음은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으로, 튀르키예어, 아이슬란드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영어의 "throw" 발음에서 'r' 소리와 유사하게 발음될 수 있다.
  • 순치음 - 무성 순치 마찰음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 마찰로 나는 무성음인 무성 순치 마찰음은 영어 'f' 소리에서 볼 수 있으며, 식습관 변화와 저작력 감소가 확산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 순치음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마찰로 생성되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 시에 주로 사용된다.
순치 탄음
음성학적 정보
IPA 기호
IPA 번호184
유니코드 십진수11377
IPA 유니코드 0x2C71
IPA 기호
브라유 점자235
브라유 점자 2v

2. 발음 방법

윗니를 아랫입술에 튕겨 소리낸다. 대충 v를 탄음으로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 기류의 발생 - 폐기류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
  • 조음
  • 조음 위치 - 아랫입술과 윗니에 의한 순치음.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순간적인 폐쇄를 한 번만 만드는 탄음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

3. 국제 음성 기호

2005년 국제 음성 기호에 추가되었으며, ⱱ|영어로 표기한다. 또는 v 위에 반달표를 붙인 표기를 쓰기도 한다. 아랫입술을 윗니 안쪽에 대고, 튕겨서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소리를 낸다. 혀를 사용하지 않는 탄음이라는 매우 드문 소리이며, 국제 음성 기호에도 오랫동안 이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2005년에 ⱱ|영어가 추가되었다. 유니코드에서는 U+2C71에 있지만, 글리프를 구현하지 않은 폰트도 많다.[3]

4. 조음 특징


  • 조음 방법탄음으로, 일반적으로 혀가 매우 짧게 접촉하면서 근육의 단일 수축으로 생성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비권설음 자음이므로, 탄음은 아랫입술로 만들어진다.
  • 조음 위치치음으로, 윗니 뒤에서 발음됨을 의미한다.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
  • 조음
  • 조음 위치 - 아랫입술과 윗니에 의한 순치음.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순간적인 폐쇄를 한 번만 만드는 탄음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
  • 기류의 발생 - 폐기류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호기.

5. 언어별 예시

순치 탄음은 세계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바나어[8]colspan=2 align=center|'낚시 바늘'주로 의성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고모음 사이에서 나타난다.[9] 와 대조된다.[10]
케라어colspan=2 align=center|'구멍이나 물 밖으로 머리를 내밀다'어휘 항목의 대부분이 의성어이므로, 순치 탄음이 케라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통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1]
망베투어colspan=2 align=center|'열'
colspan=2 align=center|'검은 새'
모노어[12]'vw'aalign=center|'보내다'및 와 대조된다. 양순 탄음과 자유 변이 관계에 있다.
시카어colspan=2 align=center|'나는 땅에 기둥을 세운다'및 와 대조된다. 로 실현될 수도 있다.
덴마크어vedda'알다'단타음; 근사음 으로도 묘사된다. 드물게는 마찰음 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양순 탄음은 모노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서 순치 탄음의 변이음이다. 이 소리는 윗니가 아닌 윗입술을 치는 것을 포함한다. 두 소리는 어떤 언어에서도 대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며, '순음 탄음'이라는 용어는 두 소리를 모두 포괄하는 더 넓은 설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13]

시카어에서 탄음은 정확한 발음에서 들리지만, 유성 순치 파열음 , 또는 파찰음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그것은 양순 마찰음 및 순치 마찰음과 대조된다:[14]

"나는 땅에 기둥을 세운다"
"나는 산다"
"우리는 (포함) 산다"


5. 1. 아프리카

순치 탄음은 주로 중앙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차드어족(마르기어, 테라어), 우방기어족(응바카어, 마'보어, 세라어), 뭄어족(예: 카레어), 중앙 수단어군(망베투어, 크레시어), 반토이드어군(응웨어, 일부 쇼나어 방언) 등 수백 개의 언어에서 발견된다. 아프리카 외에서는 극히 드물며, 플로레스의 시카어에서 보고된 바 있다.[13]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바나어[8]colspan=2|'낚시 바늘'주로 의성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고모음 사이에서 나타난다.[9] /v/와 대조된다.[10]
케라어colspan=2|'구멍이나 물 밖으로 머리를 내밀다'어휘 항목의 대부분이 의성어이므로, 순치 탄음이 케라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통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1]
망베투어colspan=2|'열'|
colspan=2|'검은 새'|
모노어[12]vwa'|'보내다'/v//w/와 대조된다. 양순 탄음과 자유 변이 관계에 있다.



양순 탄음은 모노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서 순치 탄음의 변이음이다.[13]

주로 아프리카 언어에서 나타난다.


  • 마르기어 "날아가는 모습"[15]

5. 2. 기타 지역

모노어에서는 vw에서 이 소리가 나며, v·w와는 다른 자음이다. 순치 탄음은 주로 중앙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차드어족(마르기어, 테라어), 우방기어족(응바카어, 마'보어, 세라어), 뭄어족(예: 카레어), 중앙 수단어군(망베투어, 크레시어), 반토이드어군(응웨어, 일부 쇼나어 방언) 등 수백 개의 언어에서 발견된다. 아프리카 외에서는 극히 드물며, 플로레스의 시카어에서 보고된 바 있다.[14]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바나어[8]'낚시 바늘'주로 의성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고모음 사이에서 나타난다.[9] /v/영어와 대조된다.[10]
케라어'구멍이나 물 밖으로 머리를 내밀다'어휘 항목의 대부분이 의성어이므로, 순치 탄음이 케라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통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1]
망베투어'열'
'검은 새'
모노어[12]'vw'a'보내다'/v/영어 및 /w/영어와 대조된다. 양순 탄음과 자유 변이 관계에 있다.
시카어'나는 땅에 기둥을 세운다'/v/영어 및 /β/영어와 대조된다. [b̪]영어로 실현될 수도 있다.



양순 탄음은 모노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서 순치 탄음의 변이음이다. 이 소리는 윗니가 아닌 윗입술을 치는 것을 포함한다. 두 소리는 어떤 언어에서도 대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며, '순음 탄음'이라는 용어는 두 소리를 모두 포괄하는 더 넓은 설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13]

시카어에서 탄음은 정확한 발음에서 들리지만, 유성 순치 파열음, , 또는 파찰음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그것은 양순 마찰음 및 순치 마찰음과 대조된다:[14]

ⱱoti영어"나는 땅에 기둥을 세운다"
βati영어"나는 산다"
vehte영어"우리는 (포함) 산다"


5. 3. 덴마크어

덴마크어에서 순치 탄음은 '알다'라는 의미의 '''v'''edda에서 나타나며, IPA로는 [b̪̆e̝ːˀð̠˕ˠ]로 표기된다.[8] 이는 단타음이며, 근사음 [ʋ]로도 묘사된다.[8] 드물게는 마찰음 [v]로 나타나기도 한다.[8]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참조

[1] 문헌
[2] 문헌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보고서 Revised Proposal for Additional Latin Phonetic and Orthographic Characters http://std.dkuug.dk/[...] ISO/IEC JTC 1/SC 2/WG 2 2004-08-23
[8] 문헌
[9] 문헌
[10] 문헌
[11] 문헌
[12] 문헌
[13] 문헌
[14] 문헌
[15] 서적 A Course in Phone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